국내산 성게알 우니는 외국산 우니보다 맛이 없을까?(맛, 제철)
국내산 성게알 우니는 외국산 우니보다 맛이 없을까?(맛, 제철)
우리나라에서 성게알을 먹기 시작한
역사는 꽤 오래되었다.
조선 후기 어류학서인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성게를 ‘율구합(栗毬蛤)’이라 기록하며
이를 ‘밤송이조개’라 불렀다.
이는 당시에도 성게를 식용으로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성게를 ‘구살’ 또는 ‘섬게’라
불렀으며, 성게알을 이용한 미역국인 구살국은
경조사나 특별한 날에 빠지지 않는
전통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기록과 전통을 보면, 성게알은
오래전부터 우리 조상들에게 귀한 바다의 별미로
사랑받아 온 식재료임을 알 수 있다.
좋은 성게알 우니 고르는 방법부터, 성게알 우니 세척 방법
국내산 성게알 우니 맛과 제철은
국내산 성게알은 봄부터 여름까지가 제철이며
보라성게가 이 시기에 풍부하게 채취된다.
따뜻한 날씨가 시작되면 남해와 동해안에서
신선한 성게알을 맛볼 수 있는데, 제철 보라성게알은
은은한 노란빛을 띠며, 달콤하면서도 부드러운
녹진한 식감이 특징이다.
과하지 않은 고소함 덕분에
성게알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특히,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채취되는 성게알은
차가운 수온과 깨끗한 환경 덕분에 신선도와 풍미가
뛰어나, 미식가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산 성게알 우니 종류
- 보라성게: 보라성게는 국내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종류로, 노란빛 또는 연한 주황빛 성게알을 가지고 있다. 맛은 부드럽고 달달하며, 크리미한 질감이 특징이다. 비린내가 거의 없어서 성게알 초심자에게 적합하다. 주로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채취되며, 미역국, 초밥, 덮밥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제철은 5월~7월로, 이 시기에 가장 신선하고 고소한 맛을 즐길 수 있다.
- 말똥성게: 말똥성게는 보라성게에 비해 색상이 짙고, 성게알의 맛도 진한 편이다. 감칠맛이 강하며, 씁쓸한 뒷맛이 약간 느껴지기도 한다. 이는 말똥성게 특유의 높은 글루타민산 함량 때문으로, 성게알을 즐겨 먹는 미식가들에게 호평을 받는다. 주로 제주도와 서해안에서 채취되며, 3월~5월이 제철이다. 고소함과 진한 풍미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된다.
냉동 성게알 우니 올바른 해동 방법과 먹는법 추천 제품
외국산 우니가 무조건
국내산 우니보다 맛있을까
성게알의 맛은 산지, 품종, 처리 방법, 신선도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외국산 성게알이
반드시 국내산보다 맛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외국산 성게알 중 특히 일본 홋카이도산
“바훈우니(말똥성게)“는 크리미하고 강렬한 단맛과
감칠맛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다.
반면, 국내산 보라성게알은
단맛이 부드럽고 담백하며, 신선도가 뛰어나
본연의 맛을 즐기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선도는 성게알의 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국내산 성게알은 유통 과정이 짧아
산미가 덜하고 풍미가 살아있다.
반면, 외국산 성게알은 수입 과정에서
장시간 냉동되거나 명반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쓴맛이 느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명반 처리된 성게알은
외형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지만, 감칠맛을 희석시키고
비린내를 유발하기도 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성게알의 맛을 결정하는
주요 성분인 글루탐산 함량은 품종과 서식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본 홋카이도산 성게알은 글루탐산 함량이 높아
강한 감칠맛을 제공하는 반면, 국내산 성게알은
부드러운 단맛과 균형 잡힌 풍미로 평가받는다.
이는 바다의 수온, 염도, 먹이 환경 등 서식 환경에
따른 차이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외국산 성게알이
무조건 국내산보다 맛있다고 보기 어렵다.
성게알의 품질과 맛은 취향과 활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며, 신선한 국내산 성게알은
초밥이나 덮밥처럼 본연의 맛을 즐기는 요리에
외국산 성게알은 파스타나 크림 소스처럼
강한 풍미가 필요한 요리에 잘 어울린다.
'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은 새해에 어떤 음식을 먹을까? 대표적인 일본 새해음식 5가지 (0) | 2024.12.28 |
---|---|
냉동 갈치 올바른 해동법, 냉동 갈치 굽는법, 비린내 제거 유통기한까지 (0) | 2024.12.25 |
좋은 성게알 우니 고르는 방법부터, 성게알 우니 세척 방법까지 (0) | 2024.12.23 |
냉동 성게알 우니 올바른 해동 방법과 먹는법 추천 제품까지 (0) | 2024.12.23 |
일본 와규는 왜 국내 수입이 안될까 (0) | 2024.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