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동물원 흡연구역 어디? 모르면 벌금 10만 원 낼 수도 있어요
서울대공원 다녀오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정말 넓고 볼거리 많은 곳이에요. 특히 동물원은
아이들 데리고 가기 딱 좋은 코스죠.
그런데 생각보다 걸어야 할 길도 많고, 야외다 보니
하루 종일 둘러보려면 꽤 체력 소모가 있어요.
그래서 중간에 쉬고 싶을 때, 담배 한 대 생각나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그런데요 서울대공원 동물원
안에서는 흡연이 절대. 절대. 안 됩니다.
이건 단순 권고 수준이 아니라, 서울대공원 동물원
전 구역이 법적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요.
전자담배? 궐련형? 그런 것도 다 안 됩니다.
피우다 걸리면 과태료가 최대 10만 원까지
부과된다고 하더라고요.
게다가 CCTV도 많고, 곳곳에 공원 직원분들도
계셔서 눈치 못 보고 몰래 피우는 것도 쉽지 않아요.
솔직히, 몰래 피우다 걸려서 벌금 내면 진짜 억울하죠.
차라리 그 돈으로 맛있는 거 사 먹는 게 낫죠.
서울대공원은 가족 단위 방문객이 워낙 많고,
특히 아이들이 많이 찾는 공간이다 보니
흡연 관련해서는 굉장히 철저하게 관리하는 편이에요.
그리고 이건 또 그냥 사람들 때문만은 아니에요.
동물들에게도 흡연은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어서
그렇다고 해요. 코로 냄새 맡고 감각적으로 살아가는
동물들한테 담배 연기는 진짜 최악의 자극이
될 수 있거든요.
특히 예민한 동물들은
연기만으로도 스트레스를 받고,그게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렇다고 흡연자분들 보고 참으라는 얘기만 하진 않아요.
흡연 자체를 부정하는 게 아니라, 적절한 공간에서
배려하면서 피우자는 거예요.
그래서 서울대공원 측에서는 동물원 외부에
흡연 가능한 구역을 따로 마련해두었습니다.
다만 이 위치가 동물원 안은 절대 아니고
보통 주차장 쪽 외곽에 있어요.
안내 표지판을 보면 ‘흡연구역’이라고 조그맣게
써 있는 곳 찾을 수 있고, 그래도 잘 모르겠다면
직원분께 조심스럽게 여쭤보면 알려주시기도 해요.
물론, 들어가자마자 바로 흡연구역이
나오는 건 아니니까 담배 피우시는 분들은 입장 전에
한 대 피워두고 들어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괜히 중간에 못 참겠다고 나갔다 들어왔다 하면
동선 낭비고 피곤해지니까요.
그리고 참고로, 서울대공원 동물원만 금연인 게
아니라 서울대공원 전체가 거의 대부분 금연이에요.
동물원, 식물원, 놀이기구 타는 서울랜드(1곳), 리프트
타는 곳, 호수 쪽… 거의 모든 구역이 금연입니다.
흡연 가능한 구역은 진짜 ‘외곽 한 군데’ 수준이라
담배 피우실 분들은 미리미리 계획하시는 게 좋아요.
이런 제도가 처음엔 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나들이 장소에서
담배 연기 없는 게 얼마나 쾌적한지도 느껴져요.
아이들 뛰어다니고, 유모차 끌고 다니는 보호자들한테
갑자기 담배 연기 확 들어오면 진짜 당황스럽거든요.
그래서 요즘은 비흡연자분들뿐만 아니라 흡연자분들도 ‘어차피 안 되는 곳에선 안 피운다’는
인식이 자리 잡힌 것 같아요. 그래도 가끔 모르고
피우시는 분들 계시니까 이 글 보신 분들은
미리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정리하자면, 서울대공원 동물원 안에서는
흡연 절대 안 되고, 피우시려면 외부 지정
흡연구역 이용하셔야 해요. 피우다 걸리면 벌금 있고요.
무엇보다 동물과 다른 사람들 생각하면
서로 조심해주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게 예의고, 공공장소 매너니까요.
서울대공원은 산책로도 잘 되어 있고, 리프트도 있고
코끼리열차 타고 이동도 가능해서 하루 코스로 놀기
정말 좋아요. 날씨 좋을 때 김밥 싸서 나들이 가면
진짜 도시 속에서 자연 힐링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에요.
그럼! 흡연자분들도, 비흡연자분들도 조금씩 배려하며
즐거운 하루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기름 내는 이유부터 활용법까지, 초보도 쉽게 따라하는 방법은? (0) | 2025.04.29 |
---|---|
해삼과 궁합 좋은 음식과 상극 음식 총정리! (0) | 2025.04.24 |
비린 맛 없이 짭짤하게, 멍게젓갈 제대로 즐기는 법과 올바른 멍게젓갈 보관법과 유통기한은? (0) | 2025.04.18 |
멍게와 궁합이 좋고 잘 어울리는 음식 12가지는? (0) | 2025.04.18 |
신선하고 좋은 멍게를 고르는 방법과, 멍게 손질법과 보관법은? (0) | 2025.04.17 |
댓글